이 책은 총 9개 부(Part)와 25개의 장(Chapter)으로 구성되어 있다.
<aside> 💡 Part 01 운영체제의 개요 Part 02 입출력 제어 및 인터럽트 Part 03 프로세서 관리 Part 04 기억장치 관리 Part 05 CPU 스케줄링 Part 06 시스템 성능 평가 Part 07 분산 처리 시스템 Part 08 정보 보호 및 보안 Part 09 유비쿼터스 컴퓨팅 & 클라우드 컴퓨팅
</aside>
각각 Part 및 Chapter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Part 01 운영체제의 개요
Chapter 01 | 운영체제의 정의 및 역할
이 장에서는 운영체제의 개요를 통하여 운영체제의 정의 및 주요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고, 또한 운영체제의 관리 대상과 관계에 대하여 이해한다.
Chapter 02 | 운영체제의 구성 및 4대 관리
이 장에서는 운영체제의 구성 요소와 운영체제의 주요 4대 관리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Chapter 03 | 운영체제의 목적 및 기본 기능
이 장에서는 운영체제의 목적과 목표에 대하여 알아보고, 시스템 관리에 있어서 운영체제의 기본 기능과 관리자 관점에서 본 운영체제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Chapter 04 | 운영체제의 발달과정 및 주요 기술
이 장을 통하여 0세대로부터 5세대까지의 운영체제 발달과정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운영체제의 주요 기술과 운영체제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본다.
Part 02 입출력 제어 및 인터럽트
Chapter 05 |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
이 장에서는 입출력 장치의 구조와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고, 주요 입출력 방식의 종류와 버퍼링/스풀링의 차이점에 대하여 이해한다.
Chapter 06 | 인터럽트
이 장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의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인터럽트의 정의 및 처리과정에 대하여 이해하며, 대표적인 인터럽트 종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Part 03 프로세서 관리
Chapter 07 | 프로세서 관리
이 장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 내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단위인 프로세스의 정의 및 종류에 대하여 이해하고, 시스템 실행에 있어서 프로세서의 상태변환에 대한 이해와 프로세서 상태 변환 관리 모듈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Chapter 08 | 스레드(thread)
이 장에서는 프로세서보다 더 작은 단위인 스레드의 개념 및 종류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스래드의 상태 변환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Chapter 09 | 병행 프로세스의 개념
이 장을 통하여 두 개 이상의 관련 있는 프로세스(프로그램)가 동시에 실행되는 병행 프로세스의 개념과 특징에 대하여 이해한다.
Chapter 10 | 상호배제
이 장은 한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메모리, 파일 등)에 대해서 한 프로세스만이 접근하고, 다른 프로세스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배제시키는 제어기법인 상호배제의 정의 및 상호배제 구현 방법에 대하여 이해한다.
Chapter 11 | 교착 상태(deadlock)
이 장에서는 여러 프로세서들이 한정된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경쟁하거나 요청하는 경우 발생하는 교착 상태를 이해하고, 교착 상태의 발생조건과 연구분야/해결방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Part 04 기억장치 관리
Chapter 12 | 기억장치 관리
이 장에서는 기억장치 관리에 있어서 기억장치의 개요와 기억장치 계층 구조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 주기억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Chapter 13 | 주기억장치의 관리 기법
이 장에서는 주기억장치 관리 기법 및 전략을 이해하고, 단일 사용자와 다중 사용자에 있어서의 기억장치 할당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동적 분할 할당 관리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본다.
Chapter 14 | 가상기억장치 관리 기법
이 장은 한정된 주기억장치의 기억용량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가상기억장치 관리 기법의 이해와 가상기억장치 구현 방법 및 가상기억장치 구현 기법에 대하여 이해한다.
Chapter 15 | 가상기억장치 관리 방법
이 장에서는 가상기억장치 관리 방법과 교체 전략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하고, 또한 페이지 부재가 계속 증가하여 페이지 교체시간이 증가하는 스래싱의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하여도 알아본다.
Chapter 16 | 보조 기억장치의 개요 및 디스크 스케줄링 방법
이 장에서는 보조 기억장치의 필요성과 보조 기억장치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고, 또한 디스크 스케줄링 방법과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장단점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Part 05 CPU 스케줄링
Chapter 17 | CPU 스케줄링 정의 및 목적
이 장은 컴퓨터 시스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인 CPU 스케줄링의 목적 및 필요성과 CPU 스케줄링의 단계별/방법별 분류에 대하여 이해한다.
Chapter 18 |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이 장에서는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단계별 분류 및 종류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Part 06 시스템 성능 평가
Chapter 19 | 시스템 성능 평가 개요 및 필요성
이 장에서는 컴퓨터 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시스템 성능 평가의 목적과 시스템 성능 감시 및 성능 평가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Part 07 | 분산 처리 시스템
Chapter 20 | 분산 처리 시스템 개요 및 형태
이 장을 통하여 다수의 컴퓨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한 후 자원 및 기능을 분산시켜 상호 협동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분산 처리 시스템의 개념 및 분산 처리 시스템의 형태에 대하여 알아본다.
Chapter 21 | 분산 처리 시스템 계층 구조
이 장은 분산 처리 시스템의 계층 구조와 분산 네트워크 설계시 고려사항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본다.
Part 08 | 정보 보호 및 보안
Chapter 22 | 정보 보호 및 보안
이 장은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발달에 따르는 개인/기업의 정보 보호 및 보안의 필요성과 정보 보호(보안)의 연구 분야에 대하여 설명한다.
Chapter 23 | 정보 보안 위험 감소 방법 및 정보 보안 기법
이 장에서는 정보 보안의 위험 감소 방법과 정보 보안 위협 요인에 대하여 이해하고, 또한 정보 보안 기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Part 09 | 유비쿼터스 컴퓨팅 & 클라우드 컴퓨팅
Chapter 24 |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이 장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정의 및 역사, 주요 기술, 응용 기술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Chapter 25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이 장에서는 국가 공공기관 및 대기업의 필수 H/W기반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과 주요 기술 및 클라우드 컴퓨팅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여서도 자세히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