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상기억장치 필요성 및 가상기억장치 관리 기법(페이징/세그멘테이지 기법)
사용자 프로그램들이 주기억장치보다 클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가상 기억장치는 사용자의 논리적 메모리(logical memory)를 실제 메모리(real memory, physical memory)와 분리시킴으로써 주기억장치를 매우 큰 저장장치의 배열로 생각할 수 있다.
가상기억장치 관리 기법은 페이징 기법, 세그멘테이지 기법이 있다.
페이징 기법 : 가상기억장치 내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일정하게 분할한 용량을 주기억장치의 분산된 공간에 적재하여 수행시키는 기법을 말하며, 주기억장치 가용 공간의 위치에 관계없이 페이지 단위로 할당할 수 있도록 한다.
세그멘테이지 기법 : 세그먼테이션 방법은 하나의 작업을 논리적인 크기(단위)의 가변(variable) 길이로 나누어 적재시키는 기법을 말한다.
14.3. 가상기억장치 구현 기법
2. 페이징 시스템의 장단점(특징)
장점
- 다중 프로그래밍 정도를 증대시킨다
- 세그먼트 테이블과 달리 블록의 크기를 나타낼 필요가 없다.
- 외부 단편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점
- 페이지는 프로그램에 상응하는 논리적 의미를 갖지 못한다.
- PMT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장소 필요함
- 내부 단편화 현상이 발생한다.
3. 세그멘테이션 시스템의 장단점(특징)
장점
- 페이징 방식에 비해 프로그램의 I/O 면에서 효율적임
- 가용 메모리 공간의 효율적 사용
- 주소 변환을 위한 테이블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음
- 내부 단편화 현상을 해결
단점
- 세그먼트 길이가 달라 메모리 할당이 복잡
- 세그먼트는 연속된 기억 공간을 가져야 하므로 기억 공간의 효율적 관리가 어렵다
- 외부 단편화 현상이 발생
4. 교체전략 알고리즘(정의/장단점/페이지 교체 결과(table))
- 교체 전략(replacement strategy)은 기존의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있던 페이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페이지로 대체시키는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