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억장치 계층구조(그림 및 특징)
- 모든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CPU에 의해서 실행, 참조되기 위해서는 주기억장치내에 적재되어야 한다.
- 주기억장치는 보조기억장치보다 훨씬 빠르고 용량이 적다
-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가격이 싸고 대용량이다.
- 캐시는 주기억장치보다 10~100배 이상의 빠른 속도를 갖고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다.
- CPU가 주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실행, 참조 전에 캐시에 옮겨짐으로써 주기억장치에서 보다 빠르게 실행, 참조한다.
- 버퍼는 입출력 속도가 늦은 보조기억장치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주기억장치내의 기억 공간.
- 보조기억 장치는 디스크나 테이프, 드럼 등을 사용.

2. 주기억장치 관리 기법(단일사용자/다중사용자) 및 주기억장치 관리 전략(반임/배치/교체/할당)
13.1. 주기억장치 관리 기법
13.2. Raw
3. 기억장치 단편화 종류와 장단점(내부/외부 단편화)
내부 단편화 : 하나의 분할에 작업을 할당하고 남은 빈 공백
외부 단편화 : 대기중인 작업보다 분할이 너무 적어 전체가 빈 공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