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언어를 분류하는 기준의 하나로서 컴퓨터와 인간의 친밀성에 따른 분류를 들 수 있다.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저급 언어라 하고 인간이 이해하기 쉽고 친근한 언어를 고급 언어라 한다.

[ 그림 7. 2 ]

저급 언어는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레지스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입출력 포트 등의 하드웨어를 직접 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저급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요구되므로 초보자가 작업히가에는 쉽지 않으며, 고급 언어(high level language)에 비하여 언어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라 하더라도 프로그래밍 생산성이 낮다.

1950년대 이전까지는 저급 언어인 어셈블리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며, 1950년 중반부터는 인간의 자연 언어와 비슷한 포트란, 코볼, 베이직 등의 고급 언어가 개발되어 프로그램 갭라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고급 언어의 이용응로 프로그램의 생산겅이 이전보다 상당히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