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컴퓨터나 정보 처리 기기들 사이의 상호 연결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제조 업체나 기종에 상관없이 접속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틀어 말하는 용어는?

개방형 시스템

74. OSI 7계층 모델에서 호스트 간의 통신은 결국 두 호스트의 같은 계층들 간 통신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같은 계층들 간의 데이터 전송 단위는 무엇인가?

PDU

75.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 단위는 무엇인가?

패킷, 데이터그램

76. 데이터가 장치 A에서 장치 B로 전송될 때, 장치 A의 5계층 헤더는 장치 B의 어느 계층에서 읽혀지는가?

5계층(세션 계층)에서 읽혀진다.

77.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송수신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을 위해 수신 측의 최고 처리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송신 측이 송신 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흐름 제어

78.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로 메시지 전송에 대한 책임이 있는 계층은?

전송 계층

79. 인터넷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중에 트래픽의 증가로 다운로드가 중단되었다. 다시 다운로드를 시도할 때 중단된 이후부터 전송 기능을 지원한다면 이 기능은 OSI의 어느 계층에 해당하는가.

세션 계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