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착상태의 정의

시스템 내에서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경쟁하거나 상호간에 통신하는 프로세스들의 집합들이 영구적으로 블로킹(blocking)된 상태

자원의 종류 및 성격

무한 연기의 정의 및 해결방법

교착상태의 발생조건 (4가지)

  1. 상호배제(mutual exclution) 조건 → 다른 프로세스는 점유한 자원을 사용하지 못함
  2.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조건 → 이미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추가로 요구, 대기
  3. 비선점(non-preemption) 조건 → 다른 프로세스가 강제로 자원을 선점할 수 있음
  4. 환형 대기(circular wait) 조건 : 치명적인 포옹(deadly embrace) 관계 → 프로세스의 자원이 원형을 이룸

교착 상태 연구 분야

  1. 예방 (Prevention) :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방함
  2. 회피 (Avoidance) : 발생 가능성을 인정하고 적절히 피해감
  3. 발견 (Detection) : 교착 상태 발생 원인 판단 / 소거
  4. 회복 (Recovery) : 교착상태에 걸린 해당 자원 / 프로세스를 제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