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전송지에서 보낸 타이밍 신호를 그대로 유지해 수신지까지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는 방식으로 연속해서 발생하는 트래픽에 대한 실시간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송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다중화 전송

② 등시성 서비스

③ 동기식 전송

④ 가상채널 서비스

02 여분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할당해 대역폭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ATM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① 주파수 분할 다중화

② 시분할 다중화

③ 통계적 다중화

④ 코드 분할 다중화

03 다음은 ATM 기술의 원리와 특성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고정된 크기의 53바이트 셀 형태를 사용한다.

② 기존의 서비스와 추가로 요구되는 서비스의 융통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③ 다양한 서비스 요구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④ 네트워크의 감시, 관리, 유지 비용이 감소한다.

04 ATM 프로토콜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AL 계층은 SAR 부계층과 수렴 부계층으로 구분된다.

② SAR 부계층의 역할은 ATM 계층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상위 계층 요구를 해결하는 것이다.

③ ATM 계층에서는 ATM 셀의 헤더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④ AAL 계층에서는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사용자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로 분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