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네트워크는 종단 가입자에 연결된 64Kbps 서비스(DS-0, Digital Service-0) 부터 274,176Mbps 서비스(DS-4)까지 5등급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털 서비스 계층 구조(digital service hierarchy)는 T급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구조와 동일하며, 각 디지털 서비스가 다중화되는 것은 T급 회선 시스템과 동일하다.

[ 그림 7-20 ] 은 각 단계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속도와 다중화 단계를 나타내는 디지털 계층 구조를 보여준다. 각 단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상위 단계로 가면서 다중화된다. 여기서 DS-0, DS-1 등은 서비스 이름이다.

#총 5단계가 있다.

T 디지털 계층(T 회선)

T 디지털 계층은 펄스 코드 변조(PCM) 및 시분할 다중화(TDM)를 사용하는 디지털 회선이다. T-1 디지털 신호는 음성 전화에 요구되는 대역폭에 기반하여 24개의 64Kbps 채널(DS-0)들을 1,544Mbps 광대역 신호에 실어서 전송한다. T-1에서 음성 신호는 나이퀴스트(Nyquist)의 표본화 정리(sampling theorem)에 의해 초당 8,000번 샘플링하며, 이것은 125마이크로(=1/8000)마다 8비트의 측정값을 만들어낸다.

[ 그림 7-2 ] 은 T-1 프레임 구조를 보여준다. 먼저 연속으로 생성되는 각 프레임의 시작에 1과 0을 교대로 삽입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한다. 신호 정보는 6번째와 12번째 타임 슬롯의 첫 비트를 사용하므로 이로 인해 해당 타임 슬롯의 사용자 정보는 7비트만 사용한다. 나머지 타임 슬롯(1~5, 7~1, 13~24)에서 사용자 정보는 8비트다. 각 프레임은 하나의 프레임 비트에 의해 동기화되므로 전송률은 1.544Mbps가 되고 이것이 T-1의 전송 속도가 된다. 즉, T-1은 DS-1 신호를 전송하ㅏ는 것이다.

뒤는 안하고 넘어감

DS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방식

북미 방식(NAS 방식)

T 디지털 방식

24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