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보안의 목표는 네트워크 자체 측면에서 보면 네트워크의 용도, 구성 및 규모에 따라 다르고, 네트워크 사용자의 측면에서 보면 네트워크 관리자, 네트워크 사용자 및 네트워크 개발자의 입장 등이 서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정한다.
- 기밀성 :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확인되지 않고, 인가되지 않은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보안기술이 추구하는 가장 기본적인 목표이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사용자간에 교환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비밀이 보장되어야 하고, 인가된 사용자 이외에는 해당 정보에 대한 접근이 원칙적으로 차단되어야 한다.
- 무결성 :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정보의 내용이 불법적으로 생성 또는 변경되거나 삭제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정보가 변조된 경우에는 이를 탐지해 내고, 정당한 사용자에게 경고해 주는 것도 정보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이다.
- 가용성 :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전체 시스템의 이용 효율은 이상이 없도록 해야 한다. 안정성과 효율성은 상호 절충 관계가 있으나,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요구 정도와 실제 활용도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네트워크 이용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 부인방지 : 네트워크상에서 전송 측이든 수신 측이든 간에 통신에 참여했던 사실을 부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통신경로 및 행위추적을 위한 중요한 기능이다.
- 사용자의 신분확인 및 인증 :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는 대상이 사전에 허가된 대상인지 확인하여 불법적인 대상으로부터 네트워크와 정보를 보호해야 한다.
- 데이터 발신처 확인 : 원격지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가 원하는 곳으로부터 올바르게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정보는 반드시 확인된 발신처로부터 정확하게 전송되어야 한다.
- 접근제어 : 허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며, 접근이 허가된 사용자일지라도 허가된 범위 내에서만 정보자원의 이용과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