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Linux)는 핀란드의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에 의하여 개발된 유닉스(Unix) 기반의 운영체제이다. 리눅스는 당시 헬싱키 대학의 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발즈가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한 운영체제로 윈도우가 주도하던 개인용 컴퓨터에 적합한 공개용 운영체제로 1991년 11월 버전 0.10이 뉴스그룹을 통해 일반에 공개되었다.
[ 그림 5.42 ]
리누스 토발즈는 독자적으로 제작한 리눅스의 소스 코드를 일반공중허가(GPL: General Public License)에 따라 인터넷에 공개해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일반인들이 직접 리눅스의 개선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가 리눅스만은 아니지만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지원하는 리눅스는 개발자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확산에는 리눅스가 무료 소프트웨어라는 매우 큰 장점과 유닉스에 기반한 매우 안정적인 운영체제라는 점에 기인한다. 리눅스는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를 강력하게 지원하는 등 네트워크 기능이 강화되었고, 다중 사용자(multi user), 다중 프로그래밍(multi programmig) 방식을 지원하는 안정적인 운영체제이다.
<aside> ❗ IT STORY GPL GPL은 FSF(Free Software Foundation)와 GNU(Gnu's Not Unix) 프로젝트로부터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는 라이선스이다. 사용자들이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내용을 수정하도록 보증한다.
</aside>
리눅스는 개방 소프트웨어(open softwarre)로 전 세계 500만 명이 넘는 프로그램 개발자 그룹이 리눅스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여러 그룹에서 시스템의 특성에 맞게 소스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버전의 리눅스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몇 가지 예로 Linux Mint, Ubuntu Linux, Debian Linux, Red Hat Linux, SuSE Linux, Oracle Linux 등이 있으며 레드햇 리눅스는 변종 리눅스의 첫 상업용 리눅스이다.
[ 그림 5.45 ]
레드햇 리눅스는 리눅스의 커널을 이용해 운영체제를 자체 개발하여 1994년에 저가의 상업용 운영체제로 판매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에도 널리 사용되는 상업용 리눅스의 대표적인 예이다. 운영체제 리눅스 자체도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프로그래머가 모여 계속적으로 버전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하여 발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