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함수 종속(FFD)=일반적으로 함수 종속[ ★3 ]
- 릴레이션에서 속성 집합 Y가 속성 집합 X에 함수적으로 종속되어 있지만, 속성 집합 X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는 종속되지 않음을 의미
부분 함수 종속(PFD)
- 릴레이션에서 속성 집합 Y가 속성 집합 X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도 함수적으로 종속됨을 의미
제 1 정규형
- 릴레이션에서 모든 속성이 더는 분해되지 않는 원자 값만 가지면 만족함 → 관계 DB의 릴레이션
제 2 정규형
- 릴레이션이 제 1 정규형에 속하고,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FFD되면 만족함
- 방법은 부분 함수 종속을 제거하고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되도록 분해
이행적 함수 종속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3개의 속성 집합 X, Y, Z에 대해 함수 종속 관계 X→Y와 Y→Z 가 존재하면 논리적으로 X→Y 가 성립되는데, 이 때 Z가 X에 이행적으로 함수 종속되었다고 함
제 3 정규형
- 릴레이션이 제 2 정규형에 속하고,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이행적 함수 종속이 되지 않으면 만족
- 방법은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이행적 함수 종속이 되지 않도록 분해
트랜잭션(transaction)의 개념 [ ★3 ]
-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연산들을 모아놓은 것
데이터베이스 보안의 목표 [ ★5 ]
- 조직에서 허가한 사용자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통제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