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장치는 2진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이들을 인출해야 하기 때문에 쓰기, 읽기, 주소지정 동작이 실행되고, 데이터 버스를 따라 데이터가 이동된다. [ 그림 7-18 ]은 이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 그림 7-18 ]
쓰기 동작 :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이다. [ 그림 7-19 ]는 한 바이트의 데이터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쓰기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1단계 : 주소 레지스터에 있는 주소 코드(101)를 주소 버스에 싣는다. 주소 디코더는 주소를 해설하여 기억장치의 위치(5)를 선택한다.
2단계 : 기억장치는 쓰기 명령을 받아 데이터 레지스터에 있던 데이터(1000 1101를 데이터 버스에 싣는다.
3단계 : 주소에 근거하여 선택된 기억장치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쓰기 동작을 완료한다.
읽기 동작 :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인출해 요구한 장치로 전달해주는 동작이다. [ 그림 7-20 ]은 한 바이트의 데이터를 지정된 주소 위치에서 읽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1단계 : 주소 레지스터에 있는 주소 코드(011)를 주소 버스에 싣는다. 주소 디코더는 주소 코드를 해석하여 기억장치 위치(3)를 선택한다.
2단계 : 기억장치는 READ 명령을 받아 선택된 기억장치 주소에 저장되어 있던 바이트 데이터(10001101)를 데이터 버스에 싣는다.
3단계 : 기억장치에서 읽은 데이터를 데이터 레지스터에 적재하여 READ 동작을 완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