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코드는 의사코드 또는 알고리즘 기술 언어로도 부른다. 먼저 가상코드의 기본 요소와 지정문 형식을 알아보자.

가상코드의 요소는 기호, 자료형, 연산자이다. 기호는 문자나 숫자를 조합한 것으로 첫 글자는 반드시 영문자여야 한다. 기호는 변수, 자료형 이름, 프로그램 이름, 레코드의 필드 이름, 문장의 레이블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문장의 레이블 다음에는 콜론(:)을 입력해 수행할 문장과 구분한다. 자료형은 정수형과 실수형의 수치 자료형, 문자형, 논리형, 포인터, 문자열 등의 모든 자료형을 사용할 수 있다. 연산자에는 산술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가 있다.

가상코드에서 변수에 값을 지정하는 지정문의 형식은 [그림 1-28]의 (a)와 같다. 이는 지정 연산자(←)의 오른쪽에 있는 값(또는 식의 계산 결괏값이나 변수값)을 지정 연산자(←)의 왼쪽에 있는 변수에 저장하라는 의미이다. 명령문은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끝을 표시하고, 한 행에 여러 개의 명령문을 쓸 수 있다. 지정문에는 산술식, 부울식, 문자식 등 모든 연산식을 사용할 수 있다.

[ 그림 1-28 ] 지정문 형식과 예

3.1 조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