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 게이트는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소자로 다수의 입력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입력이 1일 경우 1이 출력된다.

① OR 게이트의 진리표

입력이 두 개일 떄의 진리표를 만들어보자. 두 개의 입력이 존재하면 4(=2의2승) 가지의 경우가 존재하므로 다음과 같은 진리표를 작성할 수 있다. 즉 두 입력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이 1일 때 1을 출력한다.

② OR 게이트의 논리식 표현

OR 게이트는 논리합의 연산을 수행하므로 수식으로 표현하면 일반적인 덧셈 연산과 유사하다. 입력이 두 개일 경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X = A + B

③ OR 게이트의 설계

입력이 두 개인 OR 게이트도 스위치로 구현할 수 있다. [ 그림 3-5 ]는 스위치 두 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OR 게이트의 동작을 구현한 것이다. AND 게이트에서와 마찬가지로 스위치가 on되면 1이 입력된 것이고 스위치가 off되면 0이 입력된 것이다. 두 스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1(on)이 되면 출력 X가 1(on)이 된다. 나머지의 경우는 0(off)이 된다.

[ 그림 3-5 ] 스위치를 활용한 OR 게이트

④ OR 게이트의 기호

[ 그림 3-6 ]은 입력이 두 개일 때와 세 개일 떄의 OR 게이트 기호를 나타낸 것이다. AND 게이트와의 차이를 눈여겨보자.

[ 그림 3-6 ]

⑤ OR 게이트의 집적회로

OR 게이트도 패키징을 통해서 단일 칩 집적회로로 만들어진다. [ 그림 3-7 ]은 입력이 두 개일 때의 OR 게이트 집적회로 칩을 나타낸 것이다.

[ 그림 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