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사람의 신체에 비유하면 사람의 몸은 하드웨어이고 몸을 움직이게 하는 의지 또는 정신으 소프트웨어라 할 수 있다. 즉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없이는 아무 일도 할 수 없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가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자적인 명령어 집합으로 구성되며 컴퓨터의 하드웨어가 해야 할 작업 내용을 지시한다.
<aside> ❗ IT Stroy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영화 '아이언맨3'에서 허공에 떠 있는 입체영상인 로봇 슈트를 주인공이 직접 손으로 제어하는 모습이 나온다. 이처럼 공상과학 영황에 많이 나오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도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머지않아 대중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렇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방법이 홀로그램(hologram)이다. 홀로그램은 1949년 데니스 가보르(Dennis Gabor)가 현미경을 연구하면서 제안한 개념으로, 그리스어로 '완전한'이라는 의미의 'Holos'와 정보 또는 메시지라는 의미의 'Gramma'를 합친 단어이다.
국내의 공연장이나 놀이공원에서도 홀로그램 영상을 활용하여 K-POP 가수가 실제로 공연하는 것처럼 환상적인 3차원 입체 영상을 제공한다. 공상과학 영화와 같이 허공에 표시되는 홀로그램을 컴퓨터의 출력장치로 사용하려면 아직 연구되어야 할 기술이 많다고 하나, 최근 마이크로소프트는 허공에서 홀로그램과 같은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는 '홀로렌즈(Hololens)'라는 웨어러블 기기를 출시하여 발전시키고 있다. 홀로렌즈느 기존의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장치와 다르게 투명한 안경이 장착된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허공에 보이는 영상을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