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진수 한 자리를 존 형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1바이트(8비트)를 한 단위로 사용한다. 존 형식을 표현하기 위한 한 단위의 8비트는 상위 4비트 존 영역과 하위 4비트 수치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림 1-8] 존 형식의 구조
존 영역에는 항상 1111을 표시한다. 수치 영역에는 표현할 10진수 한 자릿값에 대한 2진수 값을 표시한다. 10진수 값을 2진수로 변환하기 위해 4비트의 수치 영역은 각 비트 자리마다 2진수의 자릿값을 갖는다. 최상위 비트는 2의 3승 = 8, 그 다음 비트는 2의 2승 = 4, 그 다음 비트는 2의 1승 = 2 마지막 최하위 비트는 2의 0승 = 1의 자릿값을 갖는다. 4비트의 2진수(0000~1111)로 10진수 0~15를 표현할 수 있는데, 10에서 15까지의 두 자리 10진수는 16진수에서 사용하는 A에서 F까지의 문자를 사용하여 한 자리로 간략히 표현한다.
[ 표 1-1 ] 4비트의 2진수에 대한 10진수 표현
자릿수가 긴 10진수를 표현할 떄는 [그림 1-8]과 같은 한 단위 존 형식을 표현하고자 하는 10진수의 자릿수만큼 연결하여 [그림 1-9]의 (a)와 같이 사용한다. 부호는 최하위 바이트의 존 영역([그림 1-9]의 'S' 영역)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10진수 +213과 -213을 존 형식으로 나타내면 [그림 1-9]의 (b)와 같다.
[그림 1-9] 존 형식의 10진수 표현 형식과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