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Tip | 다중 사용자 기억장치 할당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

분할(partiton) : 하나의 단일 작업이 적재될 수 있는 일정한 크기의 기억장치 영역으로서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는 분할의 수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aside>

주기억장치를 이용하는 다중 프로그래밍 방법 중 하나인 고정 분할 할당(fixed partition allocation) 방식은 시스템의 초기 프로그램 적재(initial program loading) 시 주기억장치를 일정한 몇 개의 고정된 크기들로 분할함으로써 실행 중인 여러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기법을 말한다. 여기서 분할(partition)이란 하나의 단일 작업이 적재될 수 있는 일정한 크기의 기억장치 영역을 의미하며,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degree of multiprogramming)는 분할의 수에 의해 제한을 받고 신중히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aside> ❗ Tip |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 (degree of multiprogramming) 주기억장치에 동시에 적재된 프로그램의 수를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라고하며, 주기억장치 내에 많은 사용자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지만, 너무 많아지면 지나친 교체(swapping)가 발생하여 오히려 시스템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 구성 시 시스템 환경을 고려하여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를 정해야 한다.

</aside>